Base64 인코딩·디코딩 – 문자열·파일·이미지 변환 무료 도구

문자열과 파일을 Base64 형식으로 빠르게 인코딩하거나 디코딩할 수 있는 무료 온라인 도구입니다.
텍스트 입력은 물론 이미지 파일도 지원하며, UTF-8과 EUC-KR 인코딩을 모두 활용할 수 있습니다.

Base64는 이메일 첨부파일, 데이터 URI, 이미지 변환 등 웹 개발과 데이터 처리에 필수적인 표준입니다.
이미지를 Base64로 변환하면 HTML <img> 태그에 직접 삽입해 외부 파일 없이 웹에서 바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Base64 변환과 링크 관리, 지금 바로 비볼디에서.
로그인 후 모든 기능 사용 →

인코딩 결과:

디코딩 결과:

이미지 미리보기

이미지 미리보기

궁금한 점이 있으신가요?
FAQ에서 바로 확인하세요.

Base64 인코딩은 이미지, 파일, 오디오 같은 바이너리 데이터를 텍스트 형태로 안전하게 변환하는 표준 방식입니다.
원래 사람이 읽을 수 없는 데이터도 영문자와 숫자만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웹 브라우저, 서버, 이메일 클라이언트 등 어떤 환경에서도 깨지지 않고 전달할 수 있습니다.

주로 이메일 첨부파일, API 통신, JSON·XML 데이터 처리, 이미지 → 데이터 URI 변환 등에서 사용되며, 다국어 문자나 특수문자가 포함된 데이터도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웹 개발자는 이미지를 Base64 문자열로 변환해 HTML의 <img> 태그에 직접 삽입할 수 있습니다.

단, Base64는 원본 데이터보다 약 33% 더 커지므로 대용량 파일보다는 텍스트 기반 데이터 처리와 웹 전송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이처럼 데이터 보안성과 호환성이 중요한 모든 환경에서 Base64 인코딩은 필수적인 기술입니다.

Base64 변환 결과가 아무것도 나오지 않는 경우는 대부분 문자셋(Charset) 불일치 때문입니다.
입력한 데이터와 선택한 문자셋(UTF-8, EUC-KR, Shift-JIS 등)이 맞지 않으면, 한글, 일본어, 이모지, 특수문자가 정상적으로 변환되지 않고 빈 값으로 표시될 수 있습니다.

올바른 문자셋을 선택했는지 확인한 뒤, 변환이 되지 않는다면 데이터 내 공백·잘못된 특수문자·불완전한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는지도 점검해야 합니다.
특히 긴 텍스트나 바이너리 데이터는 파일 업로드 방식으로 변환하면 훨씬 안정적으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Base64 변환 오류는 대부분 잘못된 인코딩 설정이나 불완전한 입력 값 때문이므로, 변환 전에 문자셋을 확인하고 데이터를 클린업(clean up)하면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

Base64 인코딩은 오늘날 이메일, 웹, API, 파일 업로드 등에서 바이너리 데이터를 안전하게 텍스트로 변환하는 국제 표준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그 시작은 과거 컴퓨터 시스템 간 비트 단위 불일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에서 출발했습니다.

1970~80년대에는 시스템마다 8비트, 7비트, 6비트 등 서로 다른 방식으로 데이터를 처리해 전송 오류와 데이터 손실이 빈번했습니다.
특히 초기 이메일 서버는 텍스트만 지원했기 때문에, 이미지·동영상·압축 파일 같은 바이너리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서는 새로운 인코딩 규칙이 필요했습니다.

여러 후보 방식 중 가장 단순하면서도 효율적인 방식으로 Base64가 채택되었고, 1987년 PEM(Privacy Enhanced Mail) 프로토콜 문서에서 처음 공식적으로 정의되었습니다.
이후 MIME 이메일 표준에 채택되면서 본격적으로 확산되었고, 웹과 네트워크 환경의 발전에 따라 데이터 URI, JSON, XML, 쿠키, API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필수 기술로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오늘날 Base64는 IETF RFC 4648을 기반으로 한 글로벌 표준으로 유지되고 있으며, “바이너리-텍스트 변환”의 대표적인 솔루션으로 전 세계 모든 개발 환경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Base64 인코딩바이너리 데이터를 텍스트 기반 환경에서 안전하게 전송·저장할 수 있도록 설계된 기술로, 오늘날 웹 개발, 이메일, API, 데이터베이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대표적인 활용 사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 이메일 첨부파일 — 이미지, 문서, 오디오 등 바이너리 데이터를 텍스트로 변환해 안전하게 전송. (MIME 표준)
  • 웹 개발(HTML/CSS)data URI 방식으로 이미지를 직접 코드에 삽입해 외부 요청 없이 즉시 표시.
  • API 통신 — JSON, XML 응답에서 바이너리 데이터를 Base64 문자열로 변환해 안정적으로 전달.
  • 보안/암호화 — 암호화·해시 처리 결과(바이너리 값)를 텍스트로 변환해 저장 및 공유.
  • 데이터베이스 관리 — BLOB 대신 텍스트 필드에 바이너리 데이터를 저장해 이식성과 검색 편의성 확보.

이처럼 Base64는 문자셋 호환성 문제를 해결하고, 전송 과정에서 데이터 손상 위험을 줄이며, 다양한 플랫폼 간 이식성과 안정성을 보장하기 때문에 웹 개발자, 서버 엔지니어, 데이터 분석가 모두가 실무에서 적극 활용하는 핵심 기술입니다.

Base64 인코딩은 암호화가 아닙니다. Base64는 단순히 바이너리 데이터를 텍스트로 표현하기 위한 인코딩 방식일 뿐, 보안 기능을 제공하지 않으므로 비밀번호, 개인정보, 인증 토큰 등 민감한 데이터를 보호하는 용도로 사용해서는 안 됩니다.

Base64로 변환된 데이터는 누구나 쉽게 디코딩해 원본을 복원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암호화나 해싱과 혼동하면 심각한 보안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차이점 정리

  • 인코딩(Encoding): 데이터 표현 변환 (언제든 복원 가능) → Base64.
  • strong>암호화(Encryption): 키 없이는 복호화 불가능. (보안 목적)
  • 해싱(Hashing): 단방향 변환, 원본 복원 불가. (검증 목적)

실무에서는 암호화·해시 함수의 결과값(바이너리 데이터)을 안전하게 텍스트로 전달하기 위해 Base64를 보조적으로 사용합니다. 하지만 민감한 데이터를 Base64 자체로 보호하려는 시도는 매우 위험하니 반드시 암호화 알고리즘(AES, RSA 등)과 함께 사용해야 합니다.

Base64 인코딩은 바이너리 데이터를 텍스트로 안전하게 변환하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데이터를 6비트 단위로 나누어 영문자·숫자·기호(총 64개 문자)로 다시 표현하기 때문에, 원본 대비 약 33% 용량이 증가합니다.

📌 예시:

  • 원본 이미지: 1MB (1024KB)
  • Base64 변환 후: 약 1.33MB

따라서 Base64는 이메일, JSON, XML, API 등 텍스트 기반 환경에서 바이너리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할 때는 유용하지만,
대용량 파일을 과도하게 인코딩하면 저장 공간 증가와 네트워크 대역폭 낭비로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능하다면 BLOB 전송이나 파일 첨부 방식을 함께 고려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