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화 도메인(IDN) ↔ Punycode 변환기 | 한글 도메인 변환기
다국어 문자와 이모지가 포함된 국제화 도메인(IDN)을 표준 Punycode 형식으로 변환하거나, 다시 원본 유니코드 도메인으로 복원할 수 있습니다.
- 양방향 변환 지원 (IDN ↔ Punycode)
- 여러 도메인 일괄 처리 가능
- 실시간 변환 결과 제공
- 개발자, 도메인 관리자, 글로벌 비즈니스 운영자에게 최적화
정확한 Punycode 변환을 통해 DNS 설정, 웹 개발, 국제 도메인 관리까지 안정적으로 지원합니다.
궁금한 점이 있으신가요?
FAQ에서 바로 확인하세요.
퓨니코드(Punycode)는 한글, 일본어, 중국어, 이모지 등 다국어로 된 도메인(유니코드 문자열)을 영문자, 숫자, 하이픈(-)만으로 이루어진 ASCII 문자열로 변환하는 국제 표준 알고리즘입니다.
RFC3492 표준에 정의되어 있으며, 인터넷에서 다양한 언어의 도메인 이름을 서로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퓨니코드로 변환된 문자열은 항상 xn--
로 시작합니다.
예를 들어, 한글 도메인 비볼디.com
은 퓨니코드로 xn--vk1b10wnye.com
과 같이 변환됩니다.
이 방식 덕분에 브라우저, DNS, 서버 등 영문만 지원하는 시스템에서도 다국어 도메인(IDN, Internationalized Domain Name)을 문제없이 인식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변환은 주로 웹 브라우저나 도메인 관리 시스템 등 클라이언트 측에서 자동으로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한글, 일본어, 이모지 등이 포함된 도메인을 등록, 검색, 접속할 때 자동으로 퓨니코드로 변환되어 인터넷 전반에서 안정적으로 사용됩니다.
네. 퓨니코드(Punycode)는 다국어 문자뿐 아니라 이모지(😊, 🚀, 🍀 등)도 ASCII 기반 문자열로 변환할 수 있는 국제 표준입니다.
예를 들어, 😊.com
은 퓨니코드로 변환 시 xn--74h.com
형태로 표시되어 모든 브라우저와 DNS에서 호환됩니다.
단, 일부 도메인 등록 기관이나 호스팅 서비스는 이모지 도메인을 공식적으로 지원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등록 전에 지원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안전하며, 변환 자체는 문제없이 가능하기 때문에 글로벌 웹사이트에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Apache, Nginx 등 웹 서버에서는 한글, 일본어, 중국어, 이모지 등 유니코드 도메인을 직접 입력할 수 없습니다.
반드시 Punycode(퓨니코드) 형식으로 변환된 영문 도메인을 설정해야 정상적으로 동작합니다.
예를 들어, 비볼디.com
은 서버 설정 시 xn--vk1b10wnye.com
형태로 등록해야 하며,
접근 로그(access log)나 Host 헤더 값 역시 항상 퓨니코드 형태로 기록됩니다.
따라서 국제화 도메인을 사용할 때는 반드시 퓨니코드 주소를 기준으로 서버 설정, 보안 인증서 등록, 프로그래밍 코드 작성 등을 진행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모든 브라우저와 DNS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웹사이트를 운영할 수 있습니다.